티스토리 뷰

이창호九단과 이세돌九단

이창호9단과 이세돌9단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이창호 九단
1986년 입단
1988년 제8기 바둑왕전 우승
1990년 국수, 최고위, 신왕전 우승 TV바둑아시아선수권 준우승
1991년 명인, 최고위, 대왕, 왕위, 박카스, 제왕 우승
1992년 동양증권배, 명인, 최고위, 대왕, 비씨카드, 박카스, 제왕, KBS바둑왕전 우승
1993년 국수, 명인, 대왕, 기왕, 패왕, 국기, 비씨카드, 기성, 배달왕, 박카스, SBS, 제왕 우승
1994년 명인, 최고위, 기왕, 패왕, 국수, 국기, 비씨카드, SBS, KBS바둑왕전, 기성, 배달왕전 우승
1995년 명인, 국수, 최고위, 패왕, 기왕, 국기, 비씨카드, 기성,  SBS, KBS바둑왕전, 배달왕, TV아시아선수권 우승
1996년 국수, 명인, 최고위, 대왕, 왕위, 국기, 기성, 천원전, 동양증권배, 후지쯔배, 세계바둑최강결정전 우승
1997년 국수, 최고위, 대왕, 비씨카드, 왕위, 배달왕, 기성, 천원, 테크론 우승
1998년 명인, 최고위, 왕위, 대왕, 기성, 테크론, 천원전 우승
1999년 기성, KBS, 최고위, 왕위, 명인, 천원전 우승
2000년 기성, 왕위, 명인, 우승
2001년 응창기배, LG배, 기성, 패왕, 명인 우승
2002년 농심신라면배, 기성, 패왕 ,TV바둑아시아컵, 왕위, 명인, KBS바둑왕전우승
2003년 도요타덴소배 우승, 국수, 춘란, 기성, 명인, 왕위, LG정유배 우승
2004년 농심신라면배 한국우승(5연패), 국수준우승, LG배우승, 기성전준우승, 왕위전우승,
           LG정유배우승, KBS바둑왕전 우승
2005년 국수전준우승, 농심배한국우승, 춘란배우승, 전자랜드왕중왕전우승, 왕위전우승,
          한국물가정보배우승, GS칼텍스배 준우승, 삼성화재배 준우승
2006년 원익배우승, 농심배한국준우승, 국수전우승, 전자랜드배우승, 왕위전우승, TV바둑아시아 준우승
2007년 삼성화재배준우승, 농심배한국우승, 국수전준우승, 후지쯔배준우승, 전자랜드배준우승,
          왕위전우승, 중환배우승, KBS바둑왕전우승
2008년 십단전우승, 후지쯔배준우승, 전자랜드배우승
2009년 KBS바둑왕전우승, 응창기배준우승, 춘란배우승, 후지쯔배준우승, 물가정보배준우승,
          명인전우승  우수기사상, 남자인기기사상, 연승상 수상
2010년 원익배 십단전준우승 LG배준우승 KBS바둑왕전우승 농심배한국우승 국수전우승 한국물가정보배준우승
세계 최연소 입단기록 2위 (11세)
세계 최연소 타이틀 획득 (13세)
세계 최연소 세계기전 우승(17세)
국내 16개 기전 싸이클링히트 달성(모두 우승)
최다관왕 기록(13관왕)
세계 6대기전 모두 우승 그랜드슬램 (응씨배,후지쓰배,춘란배,삼성화재배,LG배,도요타배)
세계기전 우승횟수 23회 세계1위 (2위 이세돌:15회 ,3위 조훈현 : 11회)
국내외통산 140회 우승 기록 2위 (1위 조훈현:158회, 3위 이세돌 : 35회)
통산 140회 우승(2010년 3월기준)
통산 1568승 508패
통산 승률 76% (이세돌 72%, 조훈현70%)
5년연속 최우수 기사 수상
문화체육부 장관 은관문화훈장 수여
국가대항전 승률 90%
(한해기준)
통산 최다대국(111국)
통산 최다연승 (41연승)
통산 최고승률 (78승12패, 86.7%)
통산 최다승 (90승)
중국(+일본)이 지배하고있던 바둑계를 평정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한국기사 이창호
당시 중국일본에선 이창호를 배우자 는 열풍이 일었고, 현재 중일 최고수 대부분이 이창호를 배우며 성장한 기사들입니다
지금도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단 한명의 프로기사를 꼽으라면 이창호를 떠올리고
중국가면 국빈급 대접에.. 중국꼬마아이가 중국총리의 이름은 몰라도 이창호9단의 이름은 안다고 했을 정도..
 
심지어 이창호의 참가 여부에 따라 대회가 일류와 이류 대회로 구분되던 때도 있었다지요.. 
 
차분하고 예의바른 성품으로 공한증을 안겨줬던 중국인들에게조차 존경받는 이창호9단과 달리
톡톡튀는 발언으로 온 중국인들의 미움을 한몸에 받은 한국기사도 있었는데요..
바로(한국 최초 여자목소리를 내는 남자성우)  이세돌9단입니다
이세돌 어록 및 일화
중국기자 : 세계 최강의 기사는 누구라고 생각하나?
이세돌 : 이창호, 요다 9단 정도겠지
(중국기자가 당시에 자리에있던 중국바둑의 최고수 마샤오춘9단을 끼워넣자)
이세돌 : 아 마샤오춘은 빼주세요~
중국 기자단 경악함 ㅋㅋㅋㅋ
중국기자 : 그대 자신은 어느정도라고 생각하나?
이세돌 : 물론 내가 최고다.
중국기자 : 마샤오춘의 바둑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이세돌 : 안봐서 모르겠다.
중국기자 : 오청원의 바둑에 대해선?
(오청원은 대만출신의 일본 원로기사. 기성으로도 불리며 ‘오청원전집’도있음)
이세돌 : 공부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다.
중국기자 : 차세대 중국의 유망한 기사는 누구라고 생각하나?
이세돌 : 그들의 이름도 모르는데 그들의 바둑을 어찌 압니까
중국기자 : 중국음식은 잘맞나?
이세돌 : 너무 기름져서 입에 안맞다.
- 자신이 없어요. 질자신이요
- 아 싸울만해서 싸워요. 수가 보이는데 어쩌란 말이에요
- 중국에서 열리는 대회인데 내가 우승해서 미안합니다
- 불리하다보니 이기자는 생각없이 대충뒀는데 이겼네요(구리에게 대역전승 직후 인터뷰..)
- 누가 지구상 최고수라고 생각하느냐? 내가 최강인 것 같다. 실력적으로 누구에게도 뒤지지않는다.
- 히카루의 바둑에 나오는 그 바둑 귀신이요? 에이 그거 별거 아니더라구요. 그 때는 초읽기도 없었는데, 얼마든지 이길 수 있어요
- 왜 이세돌과의 대국에선 처음부터 세게나가는가? 처음부터 세게 나가지않으면 끝내기에서도 장담못합니다..  (이창호9단)
- 한국기사중 가장 두려운기사가 있다면? 이세돌9단이다. (구리9단)
- 이세돌의 바둑은 현대바둑의 완전체. 승부욕에있어선 전신 조훈현9단, 파괴력에있어선 유창혁9단, 끝내기에있어선
  신산 이창호9단에 버금가는 장점을 모두다 갖춘 기사. (김성룡9단)
- 최소5년안에는 정상을 넘보지말라 (최근 GS바둑 우승후)
- (한때 상금높은 대회만 우승하자) 동료기사 曰 ‘무슨 현상금 사냥꾼이냐’
                 아시안게임 3전전패(우승상금x)
                 2011 bc카드배(우승상금3억) 우승
                 bc카드배 한중일 최강기사 초청전(우승상금5천만원) 3위로 꼴찌
                 2011 춘란배(우승상금1억6천) 우승
- 중국의 대표적인 강자와 중요한 대국에서 만난 이세돌이 토네이도 흔들기로 판을 어지럽게 만들자 상대가 끙끙 앓다가
  초읽기에 몰렸고 그만 시간패를 당한 일이 있었음
  상대가 아쉬워하자 이세돌이 계시원에게 양해를 구하고 상관없으니 계속 둬보자고 함
  그리곤 더 심하게 발라줌..
 
도대체가
귀찮다고 시상식도 안가고…
최정상급 기사중 거의 유일하게 담배피우고…
나가기로한 대회 멋대로 빠져 기사회로부터 징계받고…
중국선수들 도발및디스가 일상인 이 남자는 사실…
 
(2000년이후) 통산 한국랭킹 1위 
다승 1위 
승률 1위
2010년 한국랭킹 1위 승률 82% 
세계기전 우승 횟수 세계 2위 (1위 이창호21번, 2위 이세돌 15번, 3위 조훈현 11번)
40일만에 4단승급 (3단→7단 .. 원래 단을 올리려면 승단대회를 거쳐야하는데 승단대회자체가 오류가 있다며 3년간 외면.. 오로지 세계기전 우승준우승으로만 단수를 올려버림
이런 이세돌9단때문에 기존 승단대회가 폐지되고 국내외 기전성적만으로 단수 올라가는 법이 제정됌)
현 국내 랭킹1위이자 세계에서도 적수를 찾아보기 힘든(최근 한중최강전에서 중국랭킹1위 구리9단격파)
조훈현-이창호의 다음주자입니다..
이렇게 실력있고 건방지니 우리에겐 멋있…. 중국인들은 그래서 더 미워한다는 ‘이센돌’  이세돌9단.
하지만 이런 패기뒤엔 년1백국 이상의 공식대국과, 주 3회에 이르는 공식전이 숨어있으니..
연습량이 얼마나 될 지 상상도 안가는 부분..
하지만 이리도 당차고 패기있는 이세돌9단이 거의 유일하게 인정하는 아니 무수히도 존경심을 표하는 기사가 다시 이창호9단..
-이창호9단이란? 평생 넘을 수 없는 벽이다
-보는 기보는? 오로지 이창호 사범님의 기보만 본다
둘의 플레이스타일은 판이하게 차이가 나는데
어떤분이 알기쉽게 스타에 비유해주시길..
이세돌이 초반에 하드코어 질럿러쉬하고 닥템가서 썰어주더니 하템드랍가서 지지고 다시 리버드랍가서 몰살시킨다음
캐리어로 정점을 찍는.. 상대입장에선 그냥 컴퓨터 박살내버리고 싶은 플레이스타일이라면
이창호는 미네랄 가스 수 다 세어가며 자원다캐먹을때까지 말려죽이다가 마지막까지 상대에게 이길수도있겠다 는
희망을 품어주지만 결국 한끗차이로 이겨버리는 스타일이다..ㅋㅋㅋ
그러니까 이창호의 바둑이 느긋하면서도 안정적인 계산으로 끝내기를 통해 상대를 제압하는 스타일이라면,
이세돌은 압도적인 수읽기를 통한 흔들기로 난전으로 끌어들여 상대를 혼란시키고 압살해버리는 스타일이란거..
이창호관련 코멘트
-요다9단(전 일본 최고의 기사) : 이창호9단의 바둑은 이길수 있을것 같은데 결과는 항상 이창호의 승리로 끝난다
-조훈현9단(이창호9단의 스승) : 반상에도 없는 반집을 찾아내는 아이
이세돌관련 코멘트
-마샤오춘9단(전 중국바둑기원 감독) : 왠만한 정면 수싸움은 피하라
-조훈현9단 바둑 해설 中 : 저런 수 는 처음보네요 정말 대단하네요 허허
‘이창호는 신의 인도에 따라 바둑을 두고, 이세돌은 악마와의 계약에 따라 바둑을 둔다’
바둑팬들은 이 둘의 대결을 신들의 대결이라 하여 ‘창세기전’이라 불렀고
맞대결성적은 (2008년 기준) 이창호 26 : 23 이세돌   입니다

(최근전적 ~2010)

날짜          승       패               대회명                         결과
2010.09.15 이세돌 이창호 한국물가정보배 결승 2국 159수 흑 불계승
2010.09.01 이세돌 이창호 한국물가정보배 결승 1국 280수 백 불계승
2010.08.19 이창호 이세돌 하이원리조트배 본선 A조 185수 흑 불계승

2009.03.16 이창호 이세돌 KBS바둑왕전 결승 3국 214수 백2.5 집승
2009.03.16 이세돌 이창호 KBS바둑왕전 결승 2국 158수 백 불계승
2009.02.02 이창호 이세돌 KBS바둑왕전 결승 1국 210수 백 불계승

2008.12.23 이창호 이세돌 원익배 십단전 본선 168수 백 불계승
2008.11.19 이세돌 이창호 삼성화재배 본선 8강전 193수 흑 불계승

2008.09.25 이창호 이세돌 응씨배 본선 준결승2국 295수 흑 불계승
2008.09.23 이창호 이세돌 응씨배 본선 준결승1국 242수 백 불계승

2007.08.06 이창호 이세돌 KBS바둑왕전 본선 승자 4강 174수 백 불계승
2007.07.31 이세돌 이창호 명인전 본선 리그 162수 백 불계승

둘의 근황은
향후 몇년간은 최고의 기량일거라 예상되는 이세돌9단이 얼마전 뜬금없이 3년내 은퇴선언을 해버렸습니다 -_-;
미국진출해 바둑을 보급하겠다곤 하지만.. 나이서른에 그 정도기간이면 사실상은퇴라 보는 시선이 많네요..
이세돌의 바둑을 가장 좋아했던 저로써는 무척이나 아쉽습니다..
이창호9단은 아무래도 나이가 나이다보니.. 13살 신진서한테 깨지고,, 10년만에 2차지명으로까지 밀려난 상황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좋은기량이고 얼마전 열린 바둑왕전에서 이세돌박정환을 꺾고 결승에 선착했으나
박정환에게 역전패당한적이 있습니다
차기본좌 박정환9단과 나현에 13살 신진서까지 있으니, 얼마후면 이들로 자연스레 세대교체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물론 박정환같은 경우 이미 최고수준이구요)
마지막으로 이창호9단은 국대전승률90프로에서 알 수 있듯 한국유니폼을 입고 참가한 국대전에서 특히나 강했는데
농심배에서 중국3일본2한국이창호 이렇게 남아있을때 혼자 5연승으로 우승한 상하이대첩은 아직까지도 레전설로 남아 있습니다.(3%의 기적)
마찬가지로 막판5연승을 통해 우승한 6회농심배 역시 마찬가지..
항상 주장으로써 소방수역할이였기에 연승왕을 타지 못한게 아쉽지 않느냐는 얘기가 있었고
이창호9단이 처음 만난 기사에게 약해 선봉으로 나온다면 첫판에 질 수 있다는 사람들도 있었으나..
20명의 기사가 연승전방식으로 참가하는 한국패왕전에서 제일 먼저 등장하여 18연승한건 함정..
창하오9단(중국 전 챔피언) : 한국기사를 모두 꺾어도 이창호가 남아있다면 그때부터 시작이다.

출처 : MLBPARK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